2025. 4. 5. 17:16ㆍ알아두면 좋은 정보
요즘 국세청, 생각보다 무섭습니다.
단순한 계좌 이체 한 번, 부모님이 카드 대신 결제해준 것 하나에도 ‘증여세 대상’이라며 연락이 올 수 있어요.
저도 사실, 처음에는 ‘그냥 가족 간 도움이지 뭐’ 했는데요.
한 번 국세청 레터 받아보고 나면 진짜 말 바뀝니다… (가산세 + 신고기한 놓침 → 폭탄💣)
그래서!
오늘은 일상 속에서 실수하기 쉬운 증여 상황 5가지를 정리해봤어요.
미리 알고 조심하면, 세금도 피하고 마음도 편해집니다.
✅ 1. 부모님 카드 대신 써줬다가…
사례:
“엄마가 쿠팡 결제 귀찮다고 해서 제 카드로 사드렸는데요. 나중에 돈 안 돌려받았어요.”
이런 경우, 돌려받지 않은 금액이 있다면 국세청은 “자녀가 부모에게 현금 증여한 것”으로 간주할 수 있어요.
📌 10년간 5천만 원 이상이면 증여세 신고 대상입니다.
✅ 2. 자녀 보험료를 부모가 대신 내주는 경우
사례:
“자녀 앞으로 보험을 들고, 보험료는 제가 내고 있었는데요… 그냥 생활비라고 생각했어요.”
이건 대표적인 증여 케이스입니다.
보험 수익자가 자녀인 경우, 보험료를 부모가 내주면 → 매달 증여한 걸로 간주되죠.
💡 보험 해지 환급금이 쌓이면 → 그 금액 전부가 자녀 자산이므로 나중에 증여세 문제가 터질 수 있어요.
✅ 3. 주식계좌를 자녀 명의로 만들고 부모가 운용
사례:
“주식은 제가 하는데, 세금 줄이려고 자녀 명의 계좌로 했어요.”
이건 국세청이 매우 민감하게 보는 포인트입니다.
자녀 명의 계좌라도 실제 운용 주체가 부모이면, ‘명의신탁’ → 과태료 + 증여세 부과 대상입니다.
📌 최근 5년간 주식 관련 증여세 적발 건수가 빠르게 늘고 있어요.
✅ 4. 배우자 통장으로 돈 보낸 후 설명 없이 소비
사례:
“그냥 급여일마다 제 통장에서 와이프 통장으로 이체해요. 따로 사용처는 물어보지 않아요.”
부부 간에도 일정 금액 이상을 정기적으로 이체하고, **쓸 수 있는 자유까지 주면 ‘증여’**로 봅니다.
2024년 기준 배우자 증여 공제는 6억 원, 하지만 그 이상이 넘어가거나 용도 증빙이 부족하면 과세됩니다.
✅ 5. 자녀 집 전세금 대신 내줬다가 신고 안 한 경우
사례:
“딸이 결혼하면서 전세금이 부족하다길래, 제가 대신 1억 송금해줬죠. 신고는 안 했는데요…”
이건 사실상 ‘현금 증여’입니다.
10년간 5천만 원 공제를 넘는 금액이라면 무조건 증여세 신고 대상이고,
신고 안 하면 최대 40% 가산세까지 붙을 수 있어요.
📌 결론: “작은 배려가 큰 세금 된다”
의도하지 않아도 증여로 간주되는 상황은 정말 많습니다.
특히 가족끼리 돈이 오갈 땐, 아래처럼 꼭 체크하세요:
✅ 차용증 작성 (돈을 빌린 거라면)
✅ 계좌 이체 기록 남기기
✅ 소비 내역 & 자금 출처 명확히 하기
✅ 증여 공제 한도 확인 후 사전 신고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증여인지 몰랐는데 신고 안 했어요. 벌금 있나요?
→ 네. 신고기한을 넘긴 경우 무신고 가산세(최대 20%) + *납부불성실 가산세(연 9% 수준)*가 부과됩니다.
Q. 가족끼리 돈 빌려주는 건 괜찮나요?
→ 차용증 + 이자 지급(연 4.6% 이상)이 있다면 ‘대여’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증여세 신고, 언제 어떻게? 주식·현금 증여세 신고방법과 신고기한 총정리
📋 목차증여세란? 그리고 신고해야 하는 이유주식 증여세 신고방법과 신고기한현금 증여세 신고방법과 유의할 점증여세 신고기간과 연체 시 불이익홈택스로 간편하게 증여세 신고하는 법✅
shoppingtalknet.tistory.com